본문 바로가기

DY 칼럼

우토로 마을, 남이 아닌 우리의 문제입니다.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정부에 의해 교토비행장 건설공사에 강제적으로 동원된 조선인노동자들이 기거하던 합숙소(한바)가 있었던 곳. 약 1800여명의 조선인 노동자들이 강제 노역에 시달렸던 곳. 광복이 되고 귀국할 경제적 여건이 되지 못했던 일부 동포들과 후쿠호카, 큐슈, 남양군도 등으로 강제 징집되었던 조선인들까지 모여 살게 되면서 형성된 마을을 우리는 우토로 마을이라고 부릅니다.

몇 십년간 조국의 관심도 받지 못한 채, 또한 일본 정부의 철저한 무관심 속에서 어느 나라로부터도 보호받지 못하고 방치되어왔던 우리 동포들의 마을이 바로 우토로 마을입니다.

그러한 마을이 많은 양심적 시민들과 시민단체, 그리고 우토로마을 주민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제 한 달 후면 철거당할 위기에 놓였습니다.

지금도 러시아와 일본에는 일제 강점기 당시 강제 이주당하거나 징용당했던 한민족들이 낯선 환경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 각지에는 우리의 동포들이 각 나라에서 대한민국을 알려가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에겐 그들도 대한민국 국민입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전 세계 어디에 살고 있더라도 우리 동포들을 돕고 지원하고 함께 해나갈 의무가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 시절 어쩔 수 없이 일본으로 이주되서 치욕적인 한일협상으로 인해 보상권도 받지 못한 채 힘겹게 살아온 우토로마을의 주민들에게 우리들은 과연 어떻게 보상을 해야 합니까?

저는 정부가 나서서 그들의 땅을 매입하고 그들이 살 터전을 지켜주는 것은 우리가 그들에게 행해야 할 당연한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외교부는 더 이상 머뭇거려서는 안됩니다. 다른 국가에 거주하는 동포들과의 형평성 논리는 이 사안에 있어서 올바른 접근법이 아닙니다. 각국에 거주하는 동포들의 처지와 환경에 맞게 도와주는 것은 당연한 상식이기 때문입니다.

외교부 일각에서는 우토로마을에 대한 지원이 타 지역 동포의 유사 민원 빈발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한 반응은 그 만큼 대한민국 정부가 희생당해온 과거 일제시대 강제이주 동포들에 대해 무관심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일 뿐입니다. 그들이 처한 환경을 감안해 보상해 줄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올바른 자세이지 그것을 회피하는 것은 그들에게 또 다른 절망감을 안겨주는 결과밖에 되지 않습니다.

주일한국대사관의 관계자와 외교통상부의 관리가 우토로를 방문한 것이 2004년 11월 17일과 22일이었으며 '우토로 문제를 생각하는 국회의원모임'의 우토로 방문도 2005년 4월에서야 이뤄졌습니다. 그만큼 그들을 잊어온 것이 우리의 자화상이었습니다. 이제라도 우리는 그들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것이 역사에 찢겨온 우토로 주민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일 것입니다.

다행히 철거 시한이 한 달 연장되고 청와대에서 공익재단 형태를 통한 지원금을 제공할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어제 들려왔습니다. 하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고 우토로 마을 주민들의 불안 역시 그대로입니다. 또한 일본측 토지 소유자의 요구 금액이 늘었다는 소식은 더욱 더 주민들의 시름을 깊게 하고 있습니다.

청와대와 외교부는 즉각 우토로 마을 철거에 대한 긴급 대책을 논의하고 집행해야 합니다. 2005년 11월 현재 유엔 사무총장인 반기문 전 외교부 장관은 국회 발언을 통해 “주민들의 자구노력, 또 민간모금, 이런 것을 봐가면서 정부 지원을 준비중에 있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 말 한마디에 희망을 가지고 조국이 자신들을 도와줄 것이라고 희망을 품고 있는 우토로의 주민들에게 다시금 조국에 대한 배신감을 줄 수는 없는 일입니다.

단 한명의 동포도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이 대한민국 정부의 의무입니다. 더 이상 우토로 주민들의 눈에서 눈물이 흐르지 않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2007년 8월 31일

민주신당 대통령예비후보 정동영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