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Y 공보실

"1000억 이상 고가빌딩, 낮은 시세반영률에 연간 1098억 세금특혜

"1000억 이상 고가빌딩, 낮은 시세반영률에 연간 1098억 세금특혜

정동영 대표·경실련, 9일 1000억 이상 실거래 빌딩 분석결과 발표
"102개 빌딩 공시지가 시세반영률 37%...정부 66.5% 대비 '절반'"

 

뉴스핌 노해철 기자  2020년01월09일 13:31

 

1000억원이 넘는 고가빌딩의 공시지가가 시세를 반영하지 못하면서 연간 총 1000억원이 넘는 세금특혜를 보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9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6년간 102개 빌딩의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은 37%로 보유세 특혜는 연간 1098억원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05년 공시가격 도입 이후 15년간 누적된 세금특혜만 1조5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정 대표와 경실련에 따르면 지난 2014~2019년까지 6년간 서울에서 거래된 1000억 이상 빌딩 102개의 총 거래가격은 29조3000만원(건당 2900억)인 반면, 공시가격(땅값+건물값)은 13조7000만원으로 시세반영률 46%에 그쳤다.

 

[서울=뉴스핌] 이한결 기자 =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회관에서 열린 '지난 6년 1,000억원 이상 실거래 빌딩 과표 분석발표 기자회견'에서 취지발언을 하고 있다.

2020.01.09 alwaysame@newspim.com

 

공시가격에서 건물값을 뺀 공시지가의 시세반영률은 37%로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1000억 이상 빌딩의 토지 시세는 25조2876억원, 공시지가는 9조6869억원이기 때문이다. 이들이 추정한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은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상업용 토지 시세반영률 66.5%의 절반 수준이다.

공시가격은 보유세의 부과 기준으로 공시지가(땅값)와 시가표준액(건물값)의 합이다. 정 대표와 경실련은 공시지가가 시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재벌·대기업 등 건물주들이 세금특혜를 누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대표는 "집 한 채 있는 서민의 세금 부과 기준은 70%인데, 대기업이나 부동산 부자들이 보유한 대형빌딩의 세금 기준은 그 절반밖에 안 된다"며 "이것은 조세정의에 정면에 위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서울 중구 스퀘어빌딩의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은 38.4%로 나타났다. 보유세 추정 결과, 토지시세 1조318억원 기준 보유세는 64억원인 반면, 공시지가 3965억원 기준 보유세는 24억원이다. 이에 따라 약 40억원의 세금특혜가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서초구 삼성물산 서초사옥의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은 29.2%로 공시지가 기준 보유세는 12억6000만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토지 시세에 따른 보유세는 45억8000만원으로 공시지가 기준보다 33억원 넘게 상승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공시지가 현실화로 고가 부동산에 대한 세금을 제대로 징수한다면 서민주거안정 등 공익을 위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다"며 "40%대에 불과한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을 80% 수준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출처 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109001102

 

"1000억 이상 고가빌딩, 낮은 시세반영률에 연간 1098억 세금특혜"

"1000억 이상 고가빌딩, 낮은 시세반영률에 연간 1098억 세금특혜"

ww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