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Y 칼럼

태산도 국민이 합의하면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태 전 돌아가신 어머님이 떠오릅니다.

갑작스럽게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어머니는 남은 가족들을 이끌고 서울로 올라오셨습니다. 1974년이었습니다. 성동구 사근동의 판자촌집에 들여온 재봉틀이 우리 가족의 생계를 위한 유일한 수단이었습니다. 저와 동생들은 새벽마다 어머니가 밤새 기운 아동복 바지를 보따리에 메고 평화시장에 내다 팔았습니다. 장남이자 가장이던 제가 민청학련 사건에 이어 강제징집으로 3년간 떠나 있던 사이, 어머님과 동생들은 재봉틀과 함께 삶을 버텨야 했습니다. 저도 대학 복학 전 1년간 학비와 생활비를 벌기 위해 어머님과 봉제 일에 매달렸습니다. 다들 어려웠던 70년대였지만, 지금 제가 그런 상황이라면, 그때처럼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대학에 진학할 수 있을까 생각하면 자신이 없습니다.


그리고 지난 민생대장정때 포항에서 만난 한 40대 어머니의 절절한 말씀이 떠오릅니다. 그 분은 “남편 월급이 200만 원인데, 중학생 딸과 고등학생 아들 과외비가 월 100만원”이라고 했습니다. 자신은 결혼 후 단 한 번도 백화점 구경도 못했지만, 아이들에겐 미안한 마음뿐이라고 하셨습니다. “돈 많은 부모 밑에서 태어났더라면 더 비싼 과외를 받고 공부할 텐데”, 이런 생각을 하면 죄책감마저 든다고 했습니다.


지난해 말, 대학교 2학년이던 제 아들이 보여준 인터넷동영상이 준 충격은 아직도 생생합니다. <죽음의 트라이앵글>이란 동영상이었습니다. 대학입시 기준으로 쓰이는 내신과 수능, 대학별 논술고사, 세 가지가 바로 ‘죽음의 삼각’이었습니다. 하숙집으로 전락한 집을 나와, 학원에서 학원으로 전전해야 하는 학창 시절은 죽음의 레이스나 마찬가지입니다.


이제 이런 악순환을 깨야 합니다.
우리에겐 근본적인 교육혁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 답해야 하는 것이 정치입니다.
저는 ‘3무 3강’의 교육혁명을 주장합니다.

3무(無)
먼저 ‘학벌 없고’,
'입시의 고통과 사교육비가 없는’,
그리고 ‘계층과 지역 차별이 없는’ 교육혁명을 이뤄야 합니다.


그래야 3강(强),
우리 사회가 ‘강한 활력과 기회’, ‘강한 창의력’,
그리고 ‘강한 경쟁력’을 갖춘 교육강국으로 되살아 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교육문제는 미래를 열어가는 열쇠입니다.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하여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 멀티미디어 시대., 세계화 시대, 기술의 진보와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의 주역들을 키워내야 합니다.


이와 함께 미래의 주인공인 젊은이들을 잘못된 대입 위주의 교육현실에서 해방시켜야 합니다. 대학입시를 철폐함으로써 공교육을 정상화시키고, 사교육비를 줄여 학부모들도 학비의 덫에서 풀려나야 합니다.


현재 대학경쟁력과 관련하여 3불정책이 쟁점화되어 있습니다. 우리 대학의 경쟁력 저하는 일부 대학관계자들의 주장처럼 기여입학, 고교등급제, 본교사 등을 불허하는 ‘3불정책’에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제 바꿔야 합니다. 근본적으로 바꿔야 합니다. 3불정책을 뛰어넘는 학제개편을 포함하여 특단의 대책을 세워 다시 교육을 고통이 아닌 한국 미래를 여는 동력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대학입시제도를 폐지하고 교양 대학 학제로 개편하여 막대한 사교육비 문제를 해결하고 초중등 교육을 정상화시켜야 합니다. 현행 입시제도를 없애는 대신, 일정 수준의 학력만 되면 교양대학에 진학하도록 하여, 사교육비 문제를 해결하고 공교육을 정상화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학생들이 교양대학에서 수학함으로써 지금의 대학과정보다 더욱 강도 높게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앞서갈 수 있는 기초지식생산체력을 기르도록 해야 합니다.


대학은 연구 중심대학과 교육 중심대학으로 재편되어야 합니다. 동시에 질적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 대학교육은 공교육의 틀안에서 완전히 자율권을 가져야 합니다.


이런 변화는 그냥 이뤄지지 않습니다. 저는 모든 국민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통해 ‘사회적 교육 대협약’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민적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온 국민이 준비하고 참여해야 합니다.


내일은 좀 더 나은 삶이 약속되고, 일한 만큼 벌 수 있어야 대한민국의 미래가 있습니다. 가난이
물림되지 않고, ‘개천에서 용 나는 세상’이 되어야 우리가 희망을 꿈꿀 수 있습니다.


그 희망을 꿈꾸기 위해 저는 여러분들 곁으로 가고자 합니다. 뚜벅뚜벅 지치지 않고 걸어가겠습니다.